WARRENPAK
[KCI]조직 자부심의 형성 유형 - 비전, 성과, 전문성 그리고 가치 - 본문
조직 자부심의 형성 유형 - 비전, 성과, 전문성 그리고 가치 -
Creation Types of Organizational Pride - Vision, Performance, Expertise and Value
경영논총
2017, vol.35, no.1, 통권 48호 pp. 79-104 (26 pages)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경영학
박준기 /Jun-Gi Park (제1)1 , 심재섭 /Shim Jae Sub (교신)2
초록 close
자부심은 조직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 중에 하나다. 많은 심리학 연구에서 자기중심적이고 이벤트 중심의 성취에만 집중된 양적 연구만 집중되어 있다. 반면에 자부심은 조직에 소속된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점을 통해서 도출되는 개인들의 주관적 심리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에서 구성원들이 프라이드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밝히고,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프라이드 유형에 따라 그 의미와 각 유형에서 효과적인 프라이드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를 통해 36개의 Q 표본을, HR 전문가들로 구성된 20명의 P 표본을 선정하여 Q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프라이드의 유형은 4가지로 인식되었다. 이들 유형은 조직 비전형', '업무 성과형', '전문성 지향형', '가치 완성형'으로 명명했다. 각 유형별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 그 특성에 따라 적합한 조직 운영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성원들의 업무 분야와 관련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기존 문헌에서 제시한 팀워크의 구성 요소들과의 관련성도 분석하였다. 자부심에 대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 수준에서 프라이드 대한 인식을 분류함에 따라, 프라이드 요소들의 적합한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 조직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프라이드 형성 방법에 대해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rid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for a successful organization life. Many psychological studies conducted quantity researches that focused on the achievements of self-conscious and event-driven jobs whereas work from organizational management considers pride as a collective attitude derived from other-focused activities and fostered by the sense of organizational belongingness. This study aims to show how diverse employees in organizations perceive pride to discuss the meanings of its types and to provide the directions for effective pride in accordance with the employee’s perception.
We applied previous studies and tried to reveal the types of pride analyzed by the Q-methodology. For the Q-methodology, 36 Q-samples were deriv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20 HR experts were selected as P-samp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ypes of pride may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organizational vision, job achievement, expertise orientation, and value completion. In the discussion sec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ride were discussed and then the appropriate directions were suggested. By classifying pride based on employee's perception, this study provides an appropriate guidance of applying the components of pride and suggesting new methods on building successful organizations.
키워드
자부심, Q방법론, 조직유형, 성과
Pride, Q methodology, Organizational Structure, Performance
'WarrenPak 성과 > KCI 논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CI]품질 관점에서 웹사이트의 신뢰와 서비스가치, 그리고 보안인식의 조절효과, 2017.10 (0) | 2017.11.11 |
---|---|
[KCI]스타트업 팀의 조직 자부심 선행요인: 팀 효율성, 일과 삶의 균형,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2017.8 (0) | 2017.11.11 |
[KCI]프로젝트 팀의 팀워크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Q방법론 적용 (0) | 2017.05.25 |
[KCI]과업 갈등상황에서 스타트업 팀의 민첩성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과 지식공유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벤처창업연구, 2016 (0) | 2017.01.03 |
[KCI]갈등상황에서 민첩한 스타트업 팀에 관한 연구: 공유된 비전의 이중효과 ,벤처창업연구,2016 (0) | 2016.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