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ideLAB 컨설팅/자부심과 프라이드69

[자부심-15] 동기부여는 동기유발만 한다고 되는게 아니다. 1. “구성원들을 어떻게 몰입시키고, 열정적으로 일하게 만들 것인가?” 라는 문제의 답을 찾아야 한다. 결국 리더들은 구성원들이 ‘일’에서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아니면 훈련을 통해서 리더들 스스로가 이런 역량을 만들어야 한다. 조직은 리더 혼자 일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이다. 2. 탁월한 통찰력으로 명확한 전략 방향을 수립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실행할 직원들이 그 방향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면 전략은 무용지물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리더들은 끊임없이 구성원에게 동기부여를 어떻게 할 수 있을지가 고민이 된다. 가장 먼저 동기부여를 위해서 생각하게 되는 것이 돈을 쓰는 것이다. 많은 리더들에게 동기부여에 있어 최고는 보상 즉 ‘돈’ 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있다. 돈이.. 2025. 4. 8.
[자부심-14] 매너리즘 왜 생기나? 매너리즘에 빠지는 과정1. 뭐든 처음 경험할 때 느낌은 새롭고 신기하다. 하지만 조금 지나고 나면 익숙해지고, 어느 순간 평범한 일상이 된다. 대기업에서 일하는 장 대리는 대학을 졸업하고 수십 번의 면접과 시험을 통과해서 어렵게 지금 회사에 합격했다. 처음 몇 년 동안은 돈 버는 재미도 있었고, 대기업 직원이 되었다는 뿌듯함으로 인해 무슨 일을 해도 즐거웠다. 하지만 입사한 이후 대략 3년 남짓 지나자 회사에 적응하지 못한 입사 동기들이 관두거나 다른 일을 찾아 떠난다는 이야기가 조금씩 들렸다. ​2. 아직은 여기서 배울게 많다고 생각하지만, 이런 저런 생각이 스쳐 지나갈 때 면 10년 넘게 직장 생활을 한 선배들이 눈에 들어온다. 열심히 일하고, 능력도 있는 선배들이지만, 진정 원해서 일한다기 보다는 .. 2025. 4. 8.
[자부심-13] 국가, 조직에 대한 애착을 가진다면.. ​1. 사람은 자신이 경험했던 것이나 소유하던 것에 대해 애착(Attachment)을 가지게 된다. 내가 살았던 장소(Place)에 대한 애착도 강하다. 죽어서는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하는 분들도 있다. 이런 장소애착은 장소 정체성(place identity), 장소 의존성(place dependence), 장소 착근성(place rootedness), 세 가지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2. 일반적으로 장소는 우리 삶에서 투영되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인식되는 공간(장소 정체성)이다. 그 장소를 통해서 일 혹은 가족과의 생활을 영위(장소 의존성)한다. 또한 각각의 장소는 그 장소를 이용하는 구성원들의 정서적인 유대감(장소 착근성)을 만들고 유지시키고 표출한다. 이것이 장소애착을 만들어낸다. 즉 장소라는.. 2025. 4. 6.
[자부심-12] 외국에 나가면 애국자 된다. © sweetlouise, 출처 Pixabay  1. 해외에 살면 애국자가 된다는 말이 있다. 한국이 IMF 위기가 닥쳤던 2000년에 일본으로 건너간 김명도 씨는 IT전문가이다. 그는 갑작스런 IMF 사태에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회사가 파산해 일본으로 넘어갈 수밖에 없었다. 일본에 도착할 당시에는 한국을 떠올리는 마음은 부끄러움이 였다. 회사가 파산할 수밖에 없었던 것도 그렇지만, 나라가 망했다는 자괴감들었다. 어디서도 자신을 받아주질 않는다는 사실에 다시는 한국이란 나라를 생각하기도 싫었다. 2. 자리잡은 일본은 선진국이었다. 아무리 성장이 멈추고 늙어버린 나라라고 해도 체계적인 국가 시스템과 국민 의식은 부럽기만 했다. 일본 생활은 쉽지 않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인을 차별하고 무시하는 일본인들이.. 2025. 4. 6.
[자부심-11] 비교해, 나는 달라.. 그래.. 모두 계급은 있어!! 1. 아파트 문화에 익숙한 우리는 사회적 밀도가 높은 사회적 관계망을 가지고 있다. 자연히 내가 가진 것과 타인의 것을 견주고 비교한다. 경제학에선 이것을 이웃효과(neighbor effect)라고 한다. 주변의 또래 집단(친구 또는 이웃)의 재산이나 소비수준에 비추어 자신을 평가하려는 경향을 일컫는다. ‘이웃과의 비교’가 삶의 주된 행동 양식이 되었다. 2. 행복감마저 이웃과의 비교에서 나온다. 동질적인 고밀집 사회는 이웃을 의식하지 않고선 단 한 시도 못 살게 만든다. 엄친아(엄마 친구 아들), 엄친딸(엄마 친구 딸), 아친남(아내 친구 남편), 딸친아(딸 친구 아빠) 등과 같은 말들이 순식간에 국민이 공감하는 신조어가 될 정도로 그 비교는 필사적이다. ​3. 20세기 초반 미국의 풍자적 비평가였던 .. 2025. 4. 5.
[자부심-10] 명품, 명품 그리고 명품.. 원하는 이유 © photo_blob, 출처 Unsplash1. 캐나다 시몬 프레져 대학(Simon Fraser University)의 맥퍼런(Brent McFerran)교수는 명품브랜드를 선택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통해서 자부심의 성격을 설명해 주고 있다. 보통 명품을 사는 사람들의 심리는 허영심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다른 사람과 ‘나’의 위치를 보여주고 싶은 비교 우위의 감정으로 설명되곤 한다. 2. 그래서 명품 브랜드들은 브랜드 이미지가 오만함을 가지는 경우도 존재한다. 샤넬은 가격을 내리지 않고 올리기만 하는 것이 그런 전략적 이유에서 비롯된다. 맥퍼런 교수는 4번의 실험을 하게 된다. 그중 2번의 실험이 자부심의 생성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3. 첫 번째 실험은 160명의 참가자를 4개의 집단 구분.. 2025. 4. 4.
[자부심-9] 자부심이란 무엇인가? 1. 브리티시컬럼비아대(University of British Colombia)의 제시카 트래시(Jessica L. Tracy) 교수와 그의 동료 로빈스 교수는 자부심이 누구에게나 보편적인 것인지 조사했다. 일반적으로 일차적인 감정은 본능으로 표정과 몸짓 같은 것이고 이차적인 감정은 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라 판단했다. 2. 그러나 놀랍게도 서구와는 전혀 다른 아프리카 오지에서 놀라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슴을 펴고 고개를 약간 올리고 두 손을 허리에 대거나 치켜든 자세와 약간의 미소를 가진 것이 자부심이라고 미국이나 아프리카나 똑같았기 때문이다. ​3. 표정과 몸짓과 같은 비언어적 표현에서 공통점을 찾은 그들은 언어적 분류를 통해서도 자부심의 차이점을 구분해 냈다. 하나는 진성 자부심(authent.. 2025. 4. 4.
[자부심-8] 당신이 자부심을 가질때란? © benwhitephotography, 출처 Unsplash1. 자부심이란 단어를 우리는 자주 사용한다. IMF시절 박세리를 한국의 자부심, 한국의 자존심이라고 했던 신문 헤드라인 같이 놀라운 성과를 낸 기업을 소개할 때도 자부심이라는 말을 자주 보게 된다. 자부심이란 단어의 뜻은 뭘가? 자부심은 자신을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반영하는 개인적 평가, 또는 개인이 자신의 가치에 대해 판단을 반영하는 능력의 정도로 정의 된다. 2. 자부심은 공포와 기쁨과 같이 인간이 가지는 감정의 하나로써 이해되지만, 어떤 특정 대상에 대해 직접 유발되는 일차적인 감정과는 다르게 기존의 이유나 사건에 대해서 내가 어떻게 의식 했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좀 어렵다. 쉽게 풀어쓰면 어떤 성취나 성공을 했을 때 느끼는.. 2025. 4. 2.
[자부심-6] 자부심은 뇌의 작용이다. © averey, 출처 Unsplash생태적 합리성을 가진 인간1. 인간의 뇌가 궁금하다. 내가 가진 뇌는 왜? 누군가와 비교하려고 하는 걸까. 뇌 속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 걸까. 진화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두뇌의 작동은 사물을 인식하는 대상이 어떻게 표현하고 어떤 틀에 따르는 가에 따라서 결과가 다르게 바뀌어 진다고 주장한다. 즉, 동일한 대상도 표현 된 것과 분석하는 틀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두뇌는 사기꾼을 파악하는 영역과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곳이 다른 것이다. 결국 두뇌는 영역별로 하는 역할이 다르다.2. 인간이 선택의 문제에 놓이게 되면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이유가 두뇌가 영역에 따라 제각각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그래.. 2025. 4.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