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dership & Pride in PrideLab
-
[팀워크] CJ올리브영, 성과주의 득일까? 독일까?
1. 성과주의.. 성과를 낸 조직 혹은 사람에게 더 많은 보상을 준다. 당연한 말 같은데.. 뻔한 이야기를 하는건가? 싶은데요. CJ올리브영에서 이번에 성과급을 주면서.. 성과주의를 촉발했습니다. MD는 연봉의 80~160%, 일반 직군은 20~40% 라고 합니다. 그냥 이것만 보면.. 뭐 그럴수 있겠네.. MD가 엄청 고생하나 보네.. 이렇게 이야기할만 하죠. 2. 성과주의는 매우 매력적입니다. 성과를 낸 사람들에게 충분한 보상을 하고, 나머지는 분발해서 나중에 성과를 내도록 한다는 거죠? 매우 좋은 당근과 채찍입니다. 적절한 성과주의는 조직 전체에 긴장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잘못된 성과주의가 조직 패배주의로 빠진다는 겁니다. 3. 우리는 기본적으로 나랑 같이 일하는 사람들..
2023.02.04
-
팀워크를 재설계하자 (1) - 연말 평가시즌
조직에서 가장 피곤한 때를 꼽으라면, 아마도 연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리더들은 평가를 해야하고. 구성원들은 어떻게 평가를 받을지 고민하게되죠. 평가라.. 매우 피곤한 일입니다. 그리고 팀워크에 큰 위협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건 내가 누군가를 평가할때와 누군가에게 평가받을때 이중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는 겁니다. 왜 그럴까요.. 결국 내로남불인가.. 싶네요.. ^^ 평가받을때는 대부분의 경우, 내가 성과가 더 많고, 더 일을 잘했으니까.. 좋은 평가를 받을거야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더라도.. 누구 누구보다는 내가 일을 잘했지.. 하는 상대적 평가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현실은 그렇지 않죠.. 평가를 해보지 않은 구성원들이 평가를 받기만 하면 발생하는 현상이죠. 결..
2023.02.04
-
결과에는 항상 원인이 있다. (1)
1. 내 앞에 나타난 결과는 분명 원인이 존재합니다. 이 점을 부인할 만한 사람들은 별로 없을 겁니다. 특히 과학자에게는 그건 상식이죠. 어릴적 산수를 배우면서 단순히 정의에 따라서 숫자들이 더해지거나, 곱해지는 것을 어떻게 현실 세계에 적용할 수 있을지, 그땐 잘 몰랐습니다. 산수와 수학을 통해서 주변 현상을 이해하는 수단이라는 걸 생각해 본적도 없었죠. 하지만 우리가 인지하는 범위 혹은 공간내에서는 수학은 단 한번도 틀리지 않습니다. 2. 우주 공간을 보면 더 놀랍습니다. 그 속에는 보편적 원리가 같은 것이 있습니다. 몇 백광년이 떨어진 우주의 항성을 이해하는데, 지구와 태양의 관계에서 적용되는 법칙을 이용하거나, 빛의 스펙트럼을 통해서 수없이 많은 밤하늘의 별들의 성격을 규명할수도 있습니다. 그..
2023.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