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편향을 위한 끊없는 비교
1. 종종 부부 싸움이 일어나는 원인 중에 하나가 비교하는 것입니다. 건강하게 열심히 살아온 가족이라고 해도 어쩔수 없이 주변과 나를 비교하게 됩니다. 좋은 로펌의 변호사라고 해도 회사 경영자 혹은 대주주와 자신을 비교하면 초라해 질수도 있죠. 가까운 지인인 대학교수는 외국에서 오래 공부하고 한국에 왔는데, 오피스텔에서 월세로 시작한다고 하더군요. 공부하느라 돈이 거의 없다고.
2. 누구에게나 상대방과 비교를 통해서 나의 현실을 자각합니다. 그렇게 느끼는 현실을 #생존편향 (Survivorship bias)에서 흔히 나타나는 심리적 상태라고 합니다. 부부 간에 애정이 있어도, 내 남편이 남들과 비교해서 경제적 능력이 없어 보이는 것을 못참는 것은 다른 사람들을 통해서 남편을 실패자라고 느낀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분명 잘못된 것이죠. 남편의 직업이 개업의사로 연 3~4억씩 벌어도 그를 5~6억 벌어들이는 의사와 비교한다면 돈으로만 보면 실패한 사람이 되는 것이죠.
3. 우리 사회에서 누구나 인정하는 성공한 사람이라고 해도 누군가와 비교하다 보면, 보잘것 없는 사람이 되어 버리는 것이죠. 왜 그럴까요? 그것은 비교를 하기 때문입니다. 내가 만나는 누군가와 자신을 혹은 가족을, 분명 한건, 그런 비교를 통해서 낮은 자존감을 가진 개인은 비교를 통해서 더 본인이 부족한 사람이란 것을 들어냅니다. 하지만 현실에 이렇게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이 넘쳐납니다.
나는 부자가 너무 부러워
4. 솔직히, 부자를 보면 그들이 부럽습니다. 그들과 비교해서 '난 괜찮아!' 해도 그냥 마음의 상처가 되기 싫어서 무시하죠. 그들만큼 잘 살고 싶고, 그들의 커뮤니티에 포함되고 싶습니다. 그것이 보통사람들의 마음이죠. 그것이 지나치면 심리적 고통을 겪습니다. 성공한 가족과 함께 살지만 우리 가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주지 못하고, 잘나보이는 사람들과 비교하기에 바쁩니다. 상대적 패배감을 겪게 되는 겁니다.
5. 상대적 #패배감 은 어디서나 발견됩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자신을 공동체의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살도록 DNA가 구조화 되어 있기 때문이죠. 생존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뇌는 상대방을 인식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부자가 되어서 부자 동네로 가게 되면 처음에는 그 동네로 이사갔다는 사실만으로 만족감을 가지게 되지만, 이내 그 속에 있는 공동체와 비교되어 상대적 빈곤함에 시달리게 됩니다.
6. 이유가 뭘까요? 분명한것 한 가지는 인간은 기본적으로 합리적이지 않고 누군가와 사회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이다. 사회성 혹은 연결이란 결국 누군가와 내가 비교될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그걸 감당하면 행복해지고, 그걸 감당하지 못하면 불행해 지는 감정에 휘둘리는 것이죠. 우리 뇌는 매 순간 감정에 휘둘리면서 이성적으로 결정했다고 착각합니다. 생존한 사람들은 성공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들을 그대로 따라하면 된다고 편향되어 그걸 쉽게 믿어버리기도 하구요. 어차구니 없이 그걸 당연히 여깁니다. 이렇게 우리의 뇌는 나를 누군가와 비교하고 판단하고 평가해서 나를 정의하는 것에 익숙한겁니다.
'PrideLAB 컨설팅 > 자부심과 프라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부심-8] 당신이 자부심을 가질때란? (0) | 2025.04.02 |
---|---|
[자부심-6] 자부심은 뇌의 작용이다. (0) | 2025.04.02 |
[자부심-4] 왜 모두 명문대를 가려고 하는가? (0) | 2025.03.30 |
[자부심-3] 폼생폼사: 인간 본능과 뇌 과학 (0) | 2025.03.30 |
[자부심-1] 좋은 선배 그리고 훌륭한 리더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