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5

명문대 졸업의 가치: 자부심을 위한 여정 1. 하버드 MBA 그리고 명문대란,루 거스너, 제프리 이멜트, 맥 휘트먼, 마이클 블룸버그와 같은 성공한 인물들은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과 하버드 MBA 동문입니다.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대표적인 대학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의 동경대, 싱가포르의 싱가포르국립대, 중국의 베이징대학과 칭화대학, 한국의 서울대가 있습니다.2. 경제적 성공의 지름길.서울대 졸업은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서울대 로스쿨은 판검사 임용에서 지난 10년간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서울대 졸업생들은 미국의 상위 기업 임원으로도 활약하고 있습니다. 명문대학의 경제적 성공을 보면, 포춘 500 기업의 CEO 중 38%가 명문대학 출신이며, 억만장자, 다보스 포럼 참가자, 저널리스트 등에서도 명문대학 출신이 높.. 2025. 3. 7.
부부 싸움의 원인 - 상대적 비교 1. 상대적 비교와 부부 싸움부부 싸움의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상대적 비교입니다. 건강하게 열심히 살아가는 가족이라 할지라도 주변과 자신을 비교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좋은 로펌의 변호사라 할지라도 어떤 이는 가족 전체가 법조인인 경우가 있고, 또 어떤 이는 홀로 노력해서 변호사가 된 경우도 있습니다. 변호사가 자신을 회사 경영자나 대주주와 비교하면 초라해질 수도 있습니다. 가까운 지인인 대학교수도 외국에서 오래 공부하고 한국에 돌아와 월세 오피스텔에서 시작한다고 하더군요. 공부하느라 돈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2. 비교와 생존편향누구나 상대방과 비교를 통해 자신의 현실을 자각합니다. 이것을 심리학에서는 #생존편향 (Survivorship bias)이라고 합니다. 부부 간에 애정이 있어도, 내 남편이 다.. 2025. 3. 7.
가치있는 일이란, 퇴직후 새로운 도전 퇴직 후, 새로운 도전을 설계할 때, 그 이유가 또.. 돈입니까?"중장년, 69세까지 경제활동 원하지만 퇴직연령은 평균 50.5세" 이랍니다.경제활동을 더 하고 싶어서, 5060세대 퇴직은 그냥 다른 직업을 구해야 하는 과정으로 인식합니다.50.5세에 퇴직한다는건, 내가 가장 주된 직업으로 일을 하고, 그다음 일을 하는 나이의 평균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런데, 50세 나이의 퇴직에 돈을 먼저 생각하게 됩니다.4050의 퇴직후 다른 직업으로의 전환은 매우 쉽지 않죠. 일부 직종을 제외한 대부분은 임금 수준이 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흔치 않죠.그래서.. 퇴직후 삶을 설계할 때 돈은 중요하고, 그 준비를 철저하게 해야 하지만, 돈 때문에 설계를 하게 되면, 새로운 일상.. 2025. 3. 6.
[자부심-50] 재벌 리스크 커지기만 한다. © jeshoots, 출처 Unsplash1. 2014년 12월 발생한 '땅콩 회항'은 대한항공 앞에 붙는 주홍글씨가 됐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 객실 승무원의 마카다미아 서비스에 불만을 품으면서 일파만파로 커진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대한항공의 타격은 실로 엄청났다. 브랜드스탁이 발표한 '2015년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에 따르면 대한항공 브랜드 가치는 땅콩회항 사건여파로 급락했다. 2014년 종합 6위였지만 사건이후 39위로 아시아나항공(18위)에도 밀렸다. ​2. 재벌 갑질의 대표적인 사례, 대한항공 내부에서는 언젠가는 발생할 한 일이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조 회장 일가가 비행기에 탑승하는 날에는 승무원들이 몇 시간 전에 도착해 있어야 하고 심지어 유니폼 색깔까지 지시에 .. 2024. 7. 1.
[자부심-49] 일본 경영의 신 - 3인방 © sonika_agarwal, 출처 Unsplash1. 전후 일본 경제 기적을 일군 주역이며, 일본 국민들이 경영의 신(神)이라며 추앙하는 3인방이 있다. 혼다 자동차의 혼다 소이치로, 교세라의 이나모리 가즈오, 마쓰시다 전기의 마쓰시타 고노스케다. 세 사람은 공교롭게도 소학교(초등학교)를 중퇴하거나 소학교 졸업이 학력의 전부다. 이 세 사람이 어떻게 경영의 신이라고 불리며 존경을 받는 것일까? ​2. 혼다 소이치로는 혼다 창업주이다. 실패에 관대한 혼다였지만, 유독 그가 일생토록 후회한 자신의 실패가 있다. 바로 회사 이름에 ‘혼다’를 붙인 것이다. 그는 평소 ‘소니’처럼 사람 이름이 들어가지 않은 회사명을 부러워했다. 기업 경영만 놓고 보면 혼다는 놀라울 정도로 가족을 배제했다. 그는 아들을 후계자.. 2024. 6. 9.
[자부심-48] 객관적 성취와 주관적 성취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1. 성취감은 자부심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성취는 어떻게 평가하는 가에 따라 객관적 성취와 주관적 성취로 구분한다. 객관적 성취란, 타인에게 인정받는 것이다. 수리적으로 계산되는 지표(Indicator)가 존재한다. 반면에 주관적 성취는 ‘나’ 스스로 얼마나 만족하는가이다. 그래서 인식되는 성취 수준이 그때마다 다를수 밖에 없다. 두 가지 모두 성취로서 의미가 있다. ​2. ‘당신은 최근에 어떤 성취를 이루어냈는가?’ 라는 질문에 어떤 대답을 하겠는가? 영업사원들은 영업성과를 자랑하고 싶어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얼마나 큰 계약을 체결했고, 내가 판매하는 제품고 서비스의 우수성을 자랑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내가 개발한 서비스가 얼마나.. 2024.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