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1

2020 책읽기 목표 - “투자 원류, 데이터 굴기" 2020년은 경제를 알아가는 것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 "투자의 원류"를 찾는 길로 집중할 것이다. 투자의 원류란 Original Rules of Investing 이라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을 듯하다. 그 방법으로 결국 Data에서 가능성을 찾고, 현상을 바라보는 현명한 눈이 필요하다. 투자에 있어 불필요한 소음에 흔들리는 건 결국 "투자 철학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 2020 Book List, 연 목표 150권 / 읽은 책 **권 (12월 27일 시작) - 평가 (**** do, *** recommend, ** if time , * don't) 1. 환자 혁명 (조환경) 에디터 (12/27) : 건강 (**) : 저자가 가진 의학의 관점에 동의하는 편이다. 2. 시그널 (피파 마그렌), 한빛비즈 (.. 2020. 1. 27.
2019 책읽기 77권 - “경제 자득, 협업" 워렌팍이 읽은 책 중 2019년 Best Books (매우 주관적) 8. 도시의 승리 (에드워드 글레이저) 해냄 (2/1) : 경제 (****) 22. 밸런스 시트 불항으로 본 세계 경제 (리처드 쿠) (4/12) : 경제 (****) 29. 기브 앤 테이크(애덤 그랜트) : 인문, 영성 (5/25) (****) 31. 이성적 낙관주의자 (매트 리플리) : 인문, 경제 (****) 56. 언에비터블-미래의 정체 (케리 켈리) : 경제, 투자 (****) 75. 신호와 소음 (네이트 실버) : 경제, 투자 (****) #. 2019 Book List, 연 목표 150권 / 읽은 책 76권 (12월 13일 현재) - 평가 (**** do, *** recommend, ** if time , * don't) 1.. 2019. 12. 13.
스타트업에서 일과 삶은 균형을 가질수 있을까? 2030 MZ세대에게 일과 삶의 균형은 매우 중요한 화두입니다. 모두가 그런건 아니지만, 대부분은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해서 조금더 좋은 Job을 얻으려고 노력하고, 조직에서 일과 삶을 균형잡힐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합니다. 하지만, 연봉은 적고, 해야할 일이 많은 대부분 스타트업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가질수 있을까요? 실제로는 어려운 일이죠. 그런데.. 놀라울 정도로 균형 잡힌 직장은 구성원들에게 2가지 핵심적인 가치가 있습니다.첫번째는 조직 자부심입니다. 자부심(프라이드)를 가질수 있는 조직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 효과가 더 커집니다. 두번째는 업무만족도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해서 만들어집니다. 즉, 어떤 경우에도 내 삶을 지지해 주는 직장이 영속할 수 있다는 이야기죠. 아래 Site에서 논문을 받아서 읽어.. 2019. 10. 9.
난 애니어그램 7w8 (현실주의자) 이다. 7번유형 - 열정적인 사람(The Enthusiast) 다방면에 지식을 가진 사람,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사람, 재치 있는 사람, 안목 있는 사람, 에너지가 많은 사람 '나는 어른이 되어서도 내가 무엇을 하기 원하는지 아직도 모르겠다.' 7번 유형은 자신의 주위를 끄는 거의 모든 것에 대해 열정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 유형에게 열정적인 사람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들은 자신이 경험하는 모든 재미있는 것에 대해 어린아이와 같은 기대로 가득 차 있으며 호기심과 낙천주의, 모험심을 가지고 삶에 접근한다. 이들은 대담하고 쾌활하며 삶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좇는다. 7번 유형은 호기심 많고 쉽게 자극 받고 새로운 사고와 경험을 갈구한다. 모험지향적이다. 7번 유형은 세상 속으로 뛰어드는 데 아무 두려움도.. 2019. 5. 2.
[축하] SSCI - Most Cited Articels Top 4 - IJPM(Internata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은 프로젝트 관리 분야의 독보적인 국제저널입니다.이 저널에서 매년 5년동안 Citation을 실적을 바탕으로 Most cited papers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Citation이란 다른 논문들이 얼마나 대상논문을 참고했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즉, 논문의 품질과 영향력에서 가장 중요한 Point입니다. 저의 2014논문(Knowledge sharing in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projects: Explicating the role of dependence and trust)이 순위에 올라왔어요.. 2017년 5월 20일 현재 19위 (하지만 2014년 논문중에는 3위) 앞으로 .. 2019. 3. 15.
<프라이드> - 흔들림 없는 조직, 강한 조직을 위한 필독서 지속발전이 가능한 조직의 첫 번째 조건 - 박준기 지음 제가 5년동안 준비했던 책이 드디어 나왔습니다. ^^ 왜 어떤 조직은 성공하고, 어떤 조직은 실패할까?? 그 원인은 무엇일까? 그 질문에 답을 찾다가.. 조직의 라는 단어가 제 삶에 깊이 들어오게 되었죠.. 그렇게 연구를 거듭해서 정리한 책인 입니다. Q : 왜 조직의 성공요인으로 2018. 10.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