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ideLAB 컨설팅/자부심과 프라이드70

[자부심-54] 가치 중심의 경영과 리더십 © krakenimages, 출처 Unsplash​‘우리 회사는 사회를 위해서 고객 가치를 추구한다.’1. 기업 소개 페이지 한 쪽에 뻔히 보이는 문구다. 실제로 가치를 추구하는 회사가 있기는 할까? 회사는 돈 버는 것에만 혈안이 되어 있지 무슨 가치를 추구하나? 오히려 고객 가치를 위해서 제품도 서비스도 만든다고 하지만 결국 그들의 이익만을 추구하지 않는가. 가습기 살균제에 대해서 잘못된 대처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옥시는 영국의 레키벤키저(Reckitt Benckiser) 계열사다. 레키벤키저의 비전은 ‘사람들이 더 건강하고 더 낳은 삶을 사는 것(people are healthier and live better.)’이다.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와 옥시 사태는 전혀 연결되지 않는다. 2. 이익보다 가치.. 2025. 3. 12.
[자부심-53] 프랑스, 마크롱 그리고 개혁 © tony_cm__, 출처 Unsplash국민은 국가적 자부심을 원한다. 1. 2017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39세 최연소 나이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퍼스트레이디가 담임선생이었던 24세 연상이고 순애보적인 연애를 했다고 한다. 처음 대통령 당선 직후 내각 절반이상이 여성으로 임명되었다. 마크롱이 만든 새로운 정당 ‘레퓌블리크 앙 마르슈(전진하는 공화국)은 기존에 의석 수 하나 가지지 못했던 정당에서 당선후 전체 577석중 350석을 휩쓸어 양당 체제(공화당과 사회당)를 무너트린 거대 여당이 되었다. ​2. 처음 마크롱의 당선으로 프랑스는 마크롱에 열광했다. 국가에 대한 자부심이 떨어질 때로 떨어진 국민에게 기존과 다른 ’희망‘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마크롱은 대통령 선거 기간 중 미국 오바.. 2025. 3. 11.
[자부심-52] 좋은 퇴사와 불행한 퇴사 © benwhitephotography, 출처 Unsplash진정성 있는 소통1. 리더는 의사 결정을 해야 한다. 리더와 구성원 간 생각의 차이도 때때로 존재할 수 있다. 생각의 차이가 생길때, 의사결정에 필요한 것은 진정성을 가진 소통이다. 중국 시안에서 관리자 150여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을 가진 리더가 자부심을 어떻게 가지게 되는지 연구했다. 리더십과 자부심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관리자들은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생각하는 왜곡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가 연구로 중국 심천 지역 일반 직원들 21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2. 연구 결과 일반 직원들이 리더보다 자부심이 더 높았다. 중요한 사실은 구성원들은 그들.. 2025. 3. 10.
[자부심-51] 진정성과 유한양행 © brittanycorporation, 출처 Unsplash리더십의 위기1. 한 때 일류기업이라고 추천 되던 엔론(Enron), 리먼 브라더스(Lehman Brothers)의 붕괴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기업 CEO를 포함한 중역들이 자신들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내부거래, 회계장부 조작 등을 저지른 도덕적 해이와 비윤리적 행동, 탐욕을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리더의 위기는 도덕적 해이에서 비롯된다. 단기 성과와 이익에만 함몰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훼손하고 기업이 갖는 사회적 책임을 등한시 하는 것이 문제의 본질이다. ​2.리더십은 인간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휘된다. 위대한 경영 이면에는 리더의 인격과 품성이 작용하게 마련이다. 리더가 전문성이 뛰어날지라도 구성원과 상호.. 2025. 3. 9.
명문대 졸업의 가치: 자부심을 위한 여정 1. 하버드 MBA 그리고 명문대란,루 거스너, 제프리 이멜트, 맥 휘트먼, 마이클 블룸버그와 같은 성공한 인물들은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과 하버드 MBA 동문입니다.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대표적인 대학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의 동경대, 싱가포르의 싱가포르국립대, 중국의 베이징대학과 칭화대학, 한국의 서울대가 있습니다.2. 경제적 성공의 지름길.서울대 졸업은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서울대 로스쿨은 판검사 임용에서 지난 10년간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서울대 졸업생들은 미국의 상위 기업 임원으로도 활약하고 있습니다. 명문대학의 경제적 성공을 보면, 포춘 500 기업의 CEO 중 38%가 명문대학 출신이며, 억만장자, 다보스 포럼 참가자, 저널리스트 등에서도 명문대학 출신이 높.. 2025. 3. 7.
[자부심-50] 재벌 리스크 커지기만 한다. © jeshoots, 출처 Unsplash1. 2014년 12월 발생한 '땅콩 회항'은 대한항공 앞에 붙는 주홍글씨가 됐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 객실 승무원의 마카다미아 서비스에 불만을 품으면서 일파만파로 커진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대한항공의 타격은 실로 엄청났다. 브랜드스탁이 발표한 '2015년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에 따르면 대한항공 브랜드 가치는 땅콩회항 사건여파로 급락했다. 2014년 종합 6위였지만 사건이후 39위로 아시아나항공(18위)에도 밀렸다. ​2. 재벌 갑질의 대표적인 사례, 대한항공 내부에서는 언젠가는 발생할 한 일이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조 회장 일가가 비행기에 탑승하는 날에는 승무원들이 몇 시간 전에 도착해 있어야 하고 심지어 유니폼 색깔까지 지시에 .. 2024. 7. 1.
[자부심-49] 일본 경영의 신 - 3인방 © sonika_agarwal, 출처 Unsplash1. 전후 일본 경제 기적을 일군 주역이며, 일본 국민들이 경영의 신(神)이라며 추앙하는 3인방이 있다. 혼다 자동차의 혼다 소이치로, 교세라의 이나모리 가즈오, 마쓰시다 전기의 마쓰시타 고노스케다. 세 사람은 공교롭게도 소학교(초등학교)를 중퇴하거나 소학교 졸업이 학력의 전부다. 이 세 사람이 어떻게 경영의 신이라고 불리며 존경을 받는 것일까? ​2. 혼다 소이치로는 혼다 창업주이다. 실패에 관대한 혼다였지만, 유독 그가 일생토록 후회한 자신의 실패가 있다. 바로 회사 이름에 ‘혼다’를 붙인 것이다. 그는 평소 ‘소니’처럼 사람 이름이 들어가지 않은 회사명을 부러워했다. 기업 경영만 놓고 보면 혼다는 놀라울 정도로 가족을 배제했다. 그는 아들을 후계자.. 2024. 6. 9.
[자부심-48] 객관적 성취와 주관적 성취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1. 성취감은 자부심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성취는 어떻게 평가하는 가에 따라 객관적 성취와 주관적 성취로 구분한다. 객관적 성취란, 타인에게 인정받는 것이다. 수리적으로 계산되는 지표(Indicator)가 존재한다. 반면에 주관적 성취는 ‘나’ 스스로 얼마나 만족하는가이다. 그래서 인식되는 성취 수준이 그때마다 다를수 밖에 없다. 두 가지 모두 성취로서 의미가 있다. ​2. ‘당신은 최근에 어떤 성취를 이루어냈는가?’ 라는 질문에 어떤 대답을 하겠는가? 영업사원들은 영업성과를 자랑하고 싶어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얼마나 큰 계약을 체결했고, 내가 판매하는 제품고 서비스의 우수성을 자랑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내가 개발한 서비스가 얼마나.. 2024. 6. 9.
[자부심-47] 어떤 상황도 긍정화 시킨다. © coopery, 출처 Unsplash1. 미국 미시간대 교수인 칼 와익(Karl Weick)는 “산을 오르는 게 겁날 때 이를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작은 언덕부터 넘는 것”이다. 그것을 작은 승리 전략(Small Wins Strategy)이라고 불렀다. 어떤 문제를 극복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하면, 인간은 무력감과 불안감은 늘어난다. 그런 사람들이 모인 조직도 마찬가지다. 문제에 압도당해 아무 일도 해보지 못한 채 파국을 맞기도 한다. ​2. 반면에 문제를 잘게 쪼개 작은 문제부터 해결하면, 그 작은 성취감이 안정감을 느끼게 만들어 준다. 이런 작은 성취감이 큰 문제를 해결할 준비가 된다. 자신감도 가지게 만들어 준다. 학생들의 성취경험은 계속 공부하도록 지원해 주는 자양분이 된다. ​3. 웨이드.. 2024.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