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4

[자부심-23] 자부심을 높여야 산다. © sigmund, 출처 Unsplash ​ 1. 한 중소 회사에서 창립 기념일 특식을 정규직에게만 제공해서 논란이 있었다. 점심으로 정규직은 보쌈정식을, 비정규직은 육개장을 제공했다고 한다. 아무리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대한 눈에 보이지 않는 차별이 있다고 해도, 먹는 것으로 구별하는 건 너무 심하다. 반면에 오뚜기는 대형 마트에서 일하는 시식 사원 1800여명 전원을 정규직으로 고용했다. 대다수 식품 기업이 인력업체에서 단기 교육만 받은 직원을 파견직으로 활용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오뚜기는 여직원 평균 근속 연수가 7.8년인 반면 판매 여직원들은 평균 9.1년으로 더 길어 정규직이 좋다고 판단한 것이고, 제품에 대한 애정도가 훨씬 높아 매출이 더 잘나온다고 한다. ​ 2. 회사란 영어로 Company라.. 2023. 4. 16.
[자부심-22] 내가 "이직"하는 이유 © evangelineshaw, 출처 Unsplash 1 .내가 속한 회사를 평가할 때, 높은 연봉, 매력적인 조직문화나 환경과 같은 의견이 많았다. 조직 평가에 대한 결과가 과거와 현재가 기준들이 많이 다르다. 과거에는 기업 규모, 연봉 수준으로만 좋은 직장과 나쁜 직장을 가름하는 유일한 잣대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직원 복지와 여가시간, 자기계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이런 요소들이 직원들의 사기에 영향을 주고 있다. 2. 이직 여부를 고민(Turnover Intention)할 때가 아마도 가장 지금 회사를 평가하는데 조금더 냉철해 진다고 볼수 있다. 분명 이직에는 다양한 이유가 존재한다. 높은 연봉, 일에 대한 만족, 동료와의 갈등등이다. 특히 전문가(Professionals)의 이직 가능성이.. 2023. 4. 16.
[자부심-21] 조직과 나는 서로를 평가한다. © kmitchhodge, 출처 Unsplash 1. 영국이 브렉시트(Brexit)를 결정하자마자 400만 명이 유럽연합으로 다시 돌아가자고 시위를 했다. 트럼프가 당선되고 나서 탄핵해야 한다고 하는 말까지 나왔다. 결정이 끝난 이후에 발생하는 일련의 상황이 매우 흥미롭다. 이 현상을 설명하는 근거가 ‘조직 내 자기 정체성’ 때문이다. ​ 2. 내가 속한 집단 특성이 곧 ‘나’를 설명해 주는 기준이 된다. 그래서 조직 평가는 곧 내가 어떤 사람으로 인식되는가를 결정한다. ‘나’에 대한 이미지 향상을 위해서 내가 속한 집단의 수준은 높아지거나, 다른 조직과 차별되고 나은 집단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우리’와 ‘저들’의 이분법 적으로 분리해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이를 통해 나의 정체성을.. 2023. 3. 31.
[실력과 역량] 가장 비싼 자원 = 시간 © Yummymoon, 출처 Pixabay ​ 1. 시간관리법이라는 단어 정말 싫습니다.. 시간을 어떻게 관리합니까?, 관리라는 건, 내가 가지고 있는것에 한정된 것이지, 시간은 가지고 있을수 없는데요. 시간은 관리가 아니라, 활용해야 하는 비싼 자원입니다. ​ 2. 시간은 그냥 흘러가는 것이고, 통제되지 않는 것인데, 따라서 시간은 기본적으로 무한하면서 유한합니다. 바로 지금 이순간 시간은 오직 그거 한번뿐이므로 유한하고.. 내가 죽을때까지는 시간이라는 것이 존재할테니 제한적 무한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것이 시간이다보니, 시간자원을 활용하는 사람의 경우 멀티태스킹에 강하다고 합니다. ​ 3. 시간을 잘 할용하는것이 멀티태스킹이라고 하는데. 정말 그럴까요? 종종 그렇지 않다는 증거를 많이 발견합니다. .. 2023. 3. 19.
[자부심-20] 대기업 논리 Vs 스타트업의 생존 © norobotyet, 출처 Unsplash 1. 대기업은 기존에 돈벌고 있는 사업이 있습니다. 그래서 대기업인 겁니다. 그 위에 새로운 사업을 진행합니다. 기본 전제는 안정입니다. 하지만 스타트업은 안정이란 것이 원래 없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시장을 만들거나, 기존 시장을 흔들어야 한다. 새로운 일을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하고, 조금 서툴러도 빨리 해야 합니다. 가망 없을 경우 빠르게 해체하고 재조직하는 DNA를 지녀야 합니다. ​ 2.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차이를 인정한다면, 대기업은 좋은 인재들이 많겠죠. 좋은 학력과 경력을 가진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여느 조직처럼 80:20의 법칙으로 상위 20%가 조직을 움직이빈다. 그들 중 5% 정도는 임원으로 성장합니다. 이건희 회장은 천재 1명이 수십.. 2023. 3. 19.
[맛집] 가야가야 at 이대앞 평점 : ★★★☆ (맛 上, 친절함 中, 가격 中) 일본 라멘은 만드는 곳마다 맛의 차이가 많이 느껴지는 음식입니다. 아마도 돼지 육수를 뽑는데, 어떤 재료를 어떻게 삶고 어떻게 추출해서 맛을 내는지가 집집 마다 다르기 때문이겠죠. 또한, 고기의 맛도 차이가 납니다. 특유의 일본 라멘의 돼지고기 맛이 있는데, 냄새가 거의 안나는것 같기도 하지만 약간 특별한 냄새가 있죠.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그래서.. 일본 라멘 좋아하시는 분들은 자신의 취향에 따라서 집을 골라가시죠. 저도 일본 라멘을 좋아하지만, 탄수를 많이 절제하면서부터는 자주 가지는 못했습니다. 그래도 맛집은 가봐야 한다는 생각은 있었는데, 우연찮게 본 유투브 채널에 이대앞 가야가야가 나와서.. 제가 학교를 신촌에서 다녔는데도.. 몰랐더군요.... 2023. 3. 19.
[맛집] 박자매 한상 at 마곡 평점 : ★★★ (맛 上, 친절함 上, 가격 中) 요즈음 혼밥할때 자주가는 마곡 맛집입니다. 매일 같이 점심 메뉴가 바뀌는 곳이에요. 집밥을 주는 곳이죠. 그래서 한상입니다. 마곡에 있는 "박자매 한상" 갈때마다 항상 먹는 깔끔한 한상이고, 청국장이 강하지 않게 잘 나옵니다. 그리고 딱 좋아요. 동네 맛집같은 곳이라, 가보면 언니들이 그렇게 많아요. 전부다 언니들만 오는듯.. 위치는 "서울 강서구 마곡중앙2로 5 메트로비즈타워207호" 박자매 한상 : 네이버 방문자리뷰 34 · 블로그리뷰 4 m.place.naver.com 2023. 3. 14.
[투자 전략] 미국 4대 은행 붕괴 가능성은 없나? [디지마이너의 생각] 은행은 금융 시스템의 중추입니다. 만약 은행이 붕괴된다면? 그것은 국가 붕괴입니다. 우리는 IMF 사태를 통해서 한번 경험했던 일입니다. 미국은 리먼 사태때 거의 국가 붕괴가 될뻔 했지요. 그런데.. SVB 사태에서 놀랍게도, 채권 값의 급격한 변화로 미실현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Big4 은행들이 전부 그렇다는 겁니다. 결국 금리인상에 따른 후폭풍이 오고 있습니다. 과거 모기지사태때도, FED는 모기지가 전체 자산중에 일부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걱정할 필요없다고 했다가. 골로 갈뻔 했습니다. 정말 SVB사태가 대형은행까지 붕괴되지 않을지 잘 봐야 겠습니다. ​이번 금융사 파산 사태로, 미국 3월 금리 인상은 0.25% 인상 확정입니다. 은행 파산이 나온 상태에서.. 2023. 3. 12.
[투자 전략] 미국 시장 붕괴가 가까워 졌다?? [디지마이너의 생각] 미국 시장 붕괴가 될수 있다는 경고 나왔습니다. 매크로 전문가라고 불리는 헨릭 주버그는 차트를 중시으로 기술적 분석을 하는 사람인데, 놀랍게도, 미국 주택시장 붕괴가 가까워 졌다는 신호가 있다는 과감한 ? 주장을 합니다. 그 시작이 실리콘밸리 은행에서 부터라고 합니다. ​참 흥미로운 분석이긴 합니다. 대다수 기존 전문가들은 말도 안된다고 치부하겠지만, 이런 조금은 도발적인 이야기들이 실제로 시장을 보는데 아이디어를 줄 수 있습니다. 디지마이너는 시장붕괴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금리 인상을 제약할 수 있는 좋은 시그널이 된다는것에는 동의합니다. ​ [기사 요약] 1. 매크로 전문가인 헨릭 주버그( Henrik Zeberg)는 거의 100년 동안 목격되지 않은 일종의 시장 붕괴가 임박했다.. 2023.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