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Miner 투자 전략/읽고 연구하고 논하기22 [논문 읽기] NFT, DeFi 그리고 암호화폐 위험관계 [논문요약] 블록체인 시장의 높은 변동성은 투자자와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을 NFT, 디파이 토큰, 암호화폐의 다양화 길에 집중하도록 만들었다. 중위값, 최저, 최고변동성 조건에서 분위 연결 기법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시장의 극단적 위험전이를 조사하였다. NFT의 강한 단절이 발생하면 블록체인 시장에서 상당한 위험 파급 효과를 발견했다. 한편,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특징들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불균형한 경제 상황이 그 원인임을 확인했다. 전반적으로, NFT는 투자를 보호하고 극단적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른 블록체인 자산들 중에서 가장 다양한 부가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문 속으로] 본 논문은 분위 연결방법(he quantile connectedness approach)을 활용해서.. 2023. 2. 23. [논문읽기]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주식, 금, 원유 관계 Investigating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ryptocurrencies and conventional assets: Implications for financial investors (2020, Economic Modelling, Lanouar Charfeddine etc) [내용 요약] 1. 암호화폐에 대한 회의론은 여전하다. 다만, 고유 특성을 가진 새로운 자산이라는 것도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자산과 주요 금융 증권 및 상품과의 동적 관계를 조사했다. 투자자를 위한 암호화폐의 경제적, 재정적 잠재적 이익을 평가해봤다. 방법론은 동적 코풀라 접근법과 이변량 동적 조건부 상관 GARCH 모델을 사용했다. 2. 전통적인 자산과의 교차 상관이.. 2023. 2. 22. [책읽기] 마흔에 읽는 니체 (장재형) [총평] 평점 : ★★★ (신선함 中, 재미 上) 최근에 읽은 '니체' 해설서 중에 가장 쉽고 명쾌한 책!!! 꼭 마흔이 아니어도 누구나 읽어 보면 좋을 책.. 작가의 니체 사랑이 묻어나는 책이다. 소위 몇몇 니체 학자들보다 더 쉽게 니체를 만나게 해준다. [디지마이너의 생각] 니체는 저에게도 매우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에게서 많은걸 배웠죠. 그가 가진 메타포에 집중했던 10대 시절이 아직도 그립기까지 합니다. 그래서 니체의 새책이 나올때 마다.. 새로운 마음으로 니체를 만나고 있습니다. 누군가의 눈으로 '니체'를 바라보면.. 그것이 저에게도 큰 공부가 되죠. 저자는 니체를 좋아하고, 집중하는 사람인건 분명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이렇게 명쾌하게 니체를 정리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오랜 기간 니체 .. 2023. 1. 24. [책읽기] 투자의 원칙 (제시 리버모어) [총평] 평점 : ★★★☆ (신선함 上, 재미 上) 투자를 한다면, 꼭 배워야할 사람 그는 "제시 리버모어" 이다. 그를 투기꾼이라 생각한다면 당신은 아직도 투자를 할만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제시 리버모어"를 만날수록 가장 성공한 현실적인 투자자를 보게된다.나의 Top1 투자 멘토이다. [디지마이너의 생각] 투자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제시 리버모어"는 투자란 Business 하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무언가에 투자를 한다면, 그것을 그것은 곧 비즈니스를 시작한 거죠. 만약 물건을 파는 비즈니스를 한다면, 물건의 품질과 가격을 결정하고, 고객에게 어떻게 하면 팔릴지 고민할 것입니다. 중요한 점은 바로 거기서 Value를 추가하죠. "투자"란 내가 투여한 자원을 통해서 Value가 만들어지는.. 2023. 1. 16. [책읽기] 물리학자처럼 영화 보기(다카미즈 유이치) [총평] 평점 : ★★☆ (신선함 上, 재미 上) SF영화가 정말 물리학적으로 가능한 걸까? 당연히 안될 말이지만 왜 어떻게 안되는건지? 조금은 힌트를 얻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다면, 다시 영화를 보게 만드는 물리학자의 책 [디지마이너의 생각] "과학자 = 물리학자"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SF 혹은 스릴러, 탐정물 등의 영화/드라마/소설을 읽을때 마다 느끼게 됩니다. 모든 과학의 원천에는 결국 사물의 이치(물리)가 존재하고 그것을 통해서 세상을 조금더 이해해 보려는 노력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영화는 그 자체로 Non-Fiction이 대부분이고, 내가 생각했던 공상을 실제화 시켜주죠. 지금도 자주 보는 웹툰이나 애니메이션등을 통해서 더 많은 상상을 하곤 하지만, 실제로 현실에서 가능하다고 느끼는 .. 2022. 11. 24. [책읽기] 엔드오브타임 (브라이언 그린) [총평] 평점 : ★★★☆ (신선함 上, 재미 上) 물리학을 두 개의 단어로 이해할 수 있다. "중력" 과 "엔트로피" !!! 그게 아니어도 괜찮고, 이세상 모든 것을 전부 알수는 없어도.. 무언가 알았다는 지적 쾌락을 위해서 이 두꺼운 책은 존재한다. [디지마이너의 생각] 세상의 원리를 공부하려면 둘중에 하나에 미쳐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첫번째는 "믿음"의 세계죠. 도대체 나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서 왔나? 이런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그러다 보면 종교를 찾게되고, 철학의 심오함에 빠지게 마련입니다. 아무리 공부해도 알수 없는 세상입니다. 손에 잡히지 않는 그세상.. 하지만 그래서 또한 "돈오점수"같은게 가능한 곳이죠 두번째는 "물리"의 세상입니다. 사물의 이치를 말하는 이곳은 수학의 세상입니다.. 2022. 11. 8. 이전 1 2 3 4 다음